고신대 개혁주의학술원

11회 종교개혁기념학술세미나 개최

‘16-17세기 개혁교회와 오늘한국교회

 

 

단체.JPG

20161031일 월요일 2시에 고신대개혁주의학술원 주최로 ‘16-17세기 개혁교회와 오늘 한국교회라는 주제를 가지로 고신대학교 한상동기념홀에서 제11회 종교개혁기념학술세미나가 열렸다. 주 강사는 김병훈 박사(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조직신학 교수)이성호 박사(고려신학대학원, 역사신학 교수)이다. 논평은 우병훈 박사(고신대학교, 교의학 교수)와 황대우 박사(진주북부교회)가 맡았다.

 

 설교자장희종.JPG  

 <설교 말씀을 전하는 장희종 목사 (대구명덕교회 담임)>

 

2시에 먼저 예배가 진행되었다. 부산동교회 담임인 현광철 목사의 기도로 시작하여 대구명덕교회 장희종 목사가 당신의 말이 진리로 인정되기 위하여” (왕상 17:1, 24)라는 주제로 말씀을 전하고, 축도 후 조성국 교목실장(고신대학교, 기독교교육학과 교수)의 축사가 이어졌다.

 

  기도현광철.JPG   

   < 기도를 인도하고 있는 현광철 목사(부산동교회 담임) >

 

 

 

축사조성국.JPG 

 < 축사 말씀을 전하고 있는 조성국 교수 (고신대 기독교교육학과) >

 

이어서 16,17세기 개혁신학의 교회관: 참 교회와 순수 교회라는 주제로 김병훈 박사(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조직신학 교수)의 강의가 시작되었다. “교회란 무엇이며, 참 교회의 표지란 무엇일까?”라는 화두를 던지며, 16세기 종교개혁자들이 로마 가톨릭 교회를  참된 교회로 보았는지, 아니면 거짓교회로 보았다면 어떤 기준에 따라 진정한 교회로 보지 않았는지에 대한 논점을 제시하였다. 신앙설명서(Fidei Ratio, 1530), 4개 도시 신앙고백서(the Tetrapolitan Confession, 1530), 1, 2스위스 신앙고백서(the Second Helvetic Confession, 1566), 기독교 강요등 공히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보이는 교회와 보이지 않는 교회를 구분하고 있는데, 이는 성령의 역사하시는 믿음을 가진 성도인지는 눈으로 볼 수 없고 판단자는 오직 하나님이시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해서 보이는 교회를 떠나서 보이지 않는 교회로 도피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 칼빈은 보이는 교회에 대한 존중을 강조했다. 보이지 않는 교회의 회원은 결국 보이는 교회를 통하여 태어나고 양육을 받기 때문이다. 이러한 보이는 교회와 보이지 않는 교회를 구별한 칼빈의 견해는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에도 발견이 된다.

 

  보이지 않는 교회는 하나님만이 볼 수 있는데, 그렇다면  보이는 교회는 무엇으로 보아 그것이 교회인줄 알 수 있을까? 1스위스 신앙고백서는 그리스도께서 제정하신 외적인 징표, 하나님의 말씀, 권징 세가지의 표지를 제시하고, 칼빈은 말씀과 성례 두가지를, 프랑스 신앙고백서와 1스코틀랜드 신앙고백서는 말씀, 성례, 권징 세가지를 제시했다. 나아가 제1스코틀랜드 신앙고백서와 벨직 신앙고백서는 참교회의 표지를 명확히 제시하면서 표지들에 일치하지 않는 교회는 거짓교회임을 천명했다.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는 보이는 교회가 말씀의 사역과 성례의 시행, 권징의 사역을 통해 바르게 세워진다고 분명히 말하고 있다.

 

김병훈박사.JPG

<강의를 하고 있는 김병훈 박사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조직신학 교수) >

 

   그런데 칼빈은 참 교회의 지표들을 지극히 존중해야 할 것을 말하면서, 참교회라 할지라도 오류가 있을 수 있다고 하면서 그 오류가 치명적이라면 더 이상 참 교회로 용납할 수 없음을 말한다. 도덕적 과실이나 병폐, 사소한 교리적 오류 등은 참 교회임을 부인할만한 것들이 아니지만, 핵심적 교리를 부정한다면 치명상을 입히는 것과 같아서 교회를 죽이는 것이 된다. 하나님의 말씀보다 교회자체의 규정을 더 높이거나, 성례를 고유 목적과 어긋나게 사용하거나, 구원을 그리스도의 은혜와 공로에 두지 않거나, 참 교회를 박해하는 등의 경우는 거짓교회인 것이다. 그러나 불링거는 제2스위스 신앙고백서에서 좀 더 신중한 표현으로 어쩔 수 없는 상황에서, 본의 아니게, 혹은 연약하기 때문에, 때로는 믿음에서 떨어질지라도 교회 밖에 있는 자들로 간주하지 않는다..’

 

   그렇다면 로마 가톨릭 교회는 참 교회인가, 거짓 교회인가? 칼빈은 로마 가톨릭 교회가 마치 유대인들이 우상숭배하여 교회의 흔적이 남아 있는 경우였던 르호보암, 여로보암 시대와 유사하다면서 물론 견딜만한 수준이 아니지만, 합법적인 교회 형태는 아니지만, 비참하게 흩어지고 찢겨졌음에도 불구하고 언약에 신실하신 하나님께서 백성들을 보존하시고, 남겨두신 교회의 흔적 때문에 그것을 교회라고 부른다.

   그래서 김병훈 박사는 가톨릭 교회가 여로보암 시대의 이스라엘보다 나을 것이 없지만, 거짓 교회로 치부하기보다, 지극히 불순한 교회로 일컫는 것이 16, 17세기 개혁파 신앙고백서들의 의도를 가장 잘 반영하는 오늘의 해석이라고 판단하였다.

 

경청.JPG  

 

  이어서 이성호 박사(고려신학대학원, 역사신학 교수)가시적 성도(Visible Saints)와 교회언약(Church Covenant): 회중교회의 두 기둥 존 오웬을 중심으로라는 주제로 발표했다. 오늘날의 회중교회와는 달리 회중교회파와 장로교회파들이 본격적으로 생기게 된 17세기 영국에서는 회중교회가 개혁파 신학에 충실했는데, 그 중 대표적인 신학자가 존 오웬이었다. 장로교회는 주교제와 같은 1인에 의한 교회 정치가 아닌 장로회’(개체교회는 당회’, 지역교회는 노회’, 전국교회는 총회’; 이 회들 사이에는 위계적 관계가 존재한다.)에 의한 교회정치를 추구하였는데 회중교회는 더 나아가 어떤 위계적 교회정치를 거부하고 개체교회만이 그리스도께서 세우신 교회로 보고 그 위의 권위를 거부한 것이다. 그렇다고 회중교회가 회중에 의해 다스려지는 것이 아니라 장로들의 모임에 의해 다스려지므로, 회중교회를 독립적 장로교회’, 장로교회를 의존적 장로교회라 부르기도 했다. 회중교회의 발생 배경은 바로 국가 교회였는데, 세속군주의 관심은 교회의 순수성보다는 국가와 교회의 안정과 평화였으므로 교회의 거룩성이 손상을 받을 수 밖에 없었다. 재세례파는 교회의 거룩을 위해 유아세례를 폐지하여 시민과 교인을 구분하고자 했던 반면 존 오웬은 유아세례의 근거가 되는 언약신학을 끌어안으면서 교회를 바르게 정립하고자 했다.

 

이성호박사.JPG

<강의를 하고 있는 이성호 박사 (고려신학대학원, 역사신학 교수) >

 

 

   신약 성경에 교회를 집으로 비유하듯이, 집은 튼튼한 벽돌이 서로 굳게 연결되어 있어야 하는데, 오웬은 교회가 부실한 이유중 하나는 교회의 회원들 중에 죽은 돌이 구석구석 끼여 있기 때문으로 보았다. 세례뿐만 아니라 성령을 통해 중생한 자가 교회의 회원이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문제는 중생을 했는지 어떻게 판단하는가였다. 이는 오직 하나님만 아신다는 것을 누구나 인정하였지만, 그렇다고 입술로 고백만 하면 회원으로 받아들일 수는 없었다. 회중교회주의자들은 사랑의 판단(judgement of charity)’으로 어떤 사람이 자신의 죄와 그리스도에 대한 믿음을 고백할 뿐 아니라 삶에서 선한 열매를 맺고 중생을 명백히 부정하는 행동을 하지 않는다면 그를 중생한 사람으로 간주하는 것이 합당하다고 생각하였다.

 

   또한 중생한 사람들이 모이기만 해서 교회가 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굳게 연합되어 있어야 하는데 이 돌들 사이의 연합을 오웬은 교회언약(church covenant)’이라 부른다. 이 결합의 특성은 자발적 헌신을 통해 성립되는 것이다. 이 자발성이 빠진다면 이는 언약이 아니라 강요가 되고, 진정한 충성심이 생길 수 없는 것이다.

 

 

 경청1.JPG

 

   이렇게 회중주의교회는 아래에서부터, 즉 목사가 아닌 신자 회원들의 언약에 근거하여 세워진다. 또한 개체교회를 최우선하고, 이를 넘어서는 제도적 교회는 존재하지 않는다. 오웬이 이렇게 이해한 이유는 개체교회가 예수 그리스도에게서 직접적으로 통치를 받도록 하기 위함이었다. 존오웬의 교회관은 오늘 한국교회에 큰 시사점을 주는데, 오늘 한국교회에는 등록카드만 작성해도 교인이 될 수 있을 만큼 명목상의 교인이 너무 많다. 교인들을 끌어 모으는 데에만 관심을 가질뿐 각 신자들이 실제로 산돌이 되게 하는 것에 관심이 없다.

 

  이성호 박사는 발표를 마무리하면서, 중생은 오직 복음을 들음으로 가능하기에 목사는 순수한 복음을 전하는데 전심전력해야 한다. 또한 장로교회의 경우 입교를 위한 교리 교육을 강화하고 이명증서를 확실하게 실천하며, 회원 가입시 간단한 서약을 하도록 하는 것도 한 방법이라고 강조했다.

 

 

논평우병훈, 황대우.JPG

< 논평을 맡은 좌측 우병훈 박사 (고신대학교 교의학 교수), 우측 황대우 박사 (진주북부교회) >

 

 

                                                                                                                                                                                                            작성자: 김혜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