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rtin Luther's Theology of Beauty번역서 출판예정
*25.1.6 (월) 오후2시 제19회 신진학자포럼
발표자: 황경철 박사, 김원 박사/ 장소:대구산성교회
*24.12월1일~25.1월31일 갱신과 부흥35호 논문투고기간
고신대학교 개혁주의학술원
051-990-2267, 2268 kirs@kosin.ac.kr
갱신과 부흥 논문투고 https://kirs.jams.or.kr
투고기간: 12월1일~1월31일, 6월1일~7월31일
개혁주의 사상과 원리에 기초한 모든 학문 분야와 문화 전반에 관한 연구논문들을 수록하였습니다.
본문을 읽기 위해선 AcroBat Reader 8.0 이상을 권장합니다.

글 수 632
번호
92 논문 현대중공에 있어서의 국가와 종교_양낙흥_고려신학보10집(1985.6) 5531 2020-12-28
현대중공에 있어서의 국가와 종교  
91 서평 (서평)심리학에 물든 부족한 기독교_김철봉_갱신과 부흥2호(2009.3) 5064 2020-12-30
(서평)심리학에 물든 부족한 기독교  
90 논문 사교육과 그리스도인_조성국_갱신과 부흥2호(2009.3) 5621 2020-12-30
사교육과 그리스도인  
89 논문 현대 학습이론에 대한 기독교적 평가_김성수_고려신학보11집(1985,겨울) 5912 2021-01-05
현대 학습이론에 대한 기독교적 평가  
88 논문 Jürgen Habermas의 유물사관적 규범구조_이보민_고려신학보14집(1987.11) 5536 2021-02-08
Jürgen Habermas의 유물사관적 규범구조  
87 논문 개혁과 혁명_허순길_고려신학보14집(1987.11) 5615 2021-02-08
개혁과 혁명  
86 논문 한국 장로 교회사에 있어서 고려파의 기원과 발전사_박종칠_고려신학보14집(1987.11) 5856 2021-02-08
한국 장로 교회사에 있어서 고려파의 기원과 발전사  
85 논문 I.Kant의 윤리관과 종교관에 대한 기독교적 조명_최병규_고려신학보14집(1987.11) 6367 2021-02-08
I.Kant의 윤리관과 종교관에 대한 기독교적 조명  
84 논문 선교와 문화_전호진_고려신학보15집(1988.6) 6030 2021-02-17
선교와 문화_전호진  
83 논문 민중과 민중의 한에 대한 기독교윤리학적 평가_조성국_고려신학보15집(1988.6) 6048 2021-02-17
민중과 민중의 한에 대한 기독교윤리학적 평가_조성국  
82 논문 아시아 종교와 선교_이동주_고려신학보15집(1988.6) 5479 2021-02-17
아시아 종교와 선교  
81 논문 신학교육과 선교_조종남_고려신학보15집(1988.6) 5935 2021-02-17
신학교육과 선교  
80 논문 타락한 인간에게 있어서의 소외문제_이보민_고려신학보15집(1988.6) 5965 2021-02-17
타락한 인간에게 있어서의 소외문제  
79 논문 암스텔담 철학의 주장과 문제점 연구_한수환_고려신학보15집(1988.6) 6048 2021-02-17
암스텔담 철학의 주장과 문제점 연구  
78 논문 한국의 사회,문화적 상황과 교회_손봉호_고려신학보17집(1989,6) 6033 2021-03-19
한국의 사회,문화적 상황과 교회  
77 논문 가족 공동체의 기독교윤리학적 이해_이보민_고려신학보17집(1989,6) 5499 2021-03-19
가족 공동체의 기독교윤리학적 이해_이보민_고려신학보17집(1989,6)  
76 논문 고려신학대학원의 진로와 신학생의 자기준비_허순길_고려신학보17집(1989,6) 5857 2021-03-19
고려신학대학원의 진로와 신학생의 자기준비  
75 논문 한국 현대사와 교회_이만열_고려신학보17집(1989,6) 5676 2021-03-19
한국 현대사와 교회_이만열_고려신학보17집(1989,6)  
74 논문 아동과 신학적 개념형성_Morman Wakefield_고려신학보17집(1989,6) 5822 2021-03-19
아동과 신학적 개념형성_Morman Wakefield_고려신학보17집(1989,6)  
73 논문 한국 교계 현실과 고신의 허실_김경래_고려신학보17집(1989,6) 5758 2021-03-19
한국 교계 현실과 고신의 허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