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rtin Luther's Theology of Beauty번역서 출판예정
*2024.5.7(화,2시)제15회 칼빈학술세미나(송용원)
제목:한국교회를 위한 칼빈의 공동선
*총서 종교개혁과 결혼과 가정 출판예정
고신대학교 개혁주의학술원
051-990-2267, 2268 kirs@kosin.ac.kr
갱신과 부흥 논문투고 https://kirs.jams.or.kr
투고기간: 12월1일~1월31일, 6월1일~7월31일
교회의 개혁과 신앙의 갱신과 관련한 저명한 인사들의 칼럼을 소개합니다.
글 수 147

설교 평가: 청중의 자세와 설교자의 자세

                                                              
※ 아래 글은 필자 황대우 목사가 SFC 총동문회에서 발행하는 「개혁신앙」 7월호에 실린 글의 원고를 「개혁신앙」의 허락을 받아 편집 후 게재한 것입니다. - 편집자


누군가에게 자신의 무엇을 평가받는다는 것은 누구나 부담스러운 일이다. 설교평가는 목사에게 가장 부담스러운 일일 것이다. 한국교회에서는 설교평가가 금기시되어 있다. 설교 자체를 하나님의 직접적인 말씀으로 간주할 정도로 너무 존중하여 평가가 금기시되는 것일까? 평가가 금기시되고 있기 때문에 설교의 권위가 하늘을 찌르고 설교의 무게는 천근만근일까? 전혀 아니다. 설교의 권위는 더 이상 가라앉을 곳이 없는 해저 심연 바닥까지 떨어져 있고 설교의 무게는 너무 가벼워 공중에 날아다니는 새 깃털 같다.

설교자 앞에서는 평가는 고사하고 설교 자체를 논하지 않는다. 할 수 있는 것이 있다면, “은혜 받았습니다!” 라는 인사말이 고작이다. 하지만 사실 설교평가는 누구나 아무 때나 어디서나 너무 쉽게 한다. 다만 설교한 당사자 앞에서만 하지 않을 뿐이다. 설교평가의 금기는 바로 ‘설교 당사자 앞’에서만 지켜지고 있다. 한 마디로 한국교회의 설교평가는 지극히 사적이다. 앞에서는 못하고 뒤로는 다 한다. 그것도 굉장히 저질스럽게 한다.

서구 사회에서 ‘하나님’과 ‘그리스도’의 이름이 ‘욕’이 되어버린 것처럼 우리에게 ‘설교’라는 단어는 더 이상 경청의 대상이 아닌 ‘경멸’의 대상이 되고 말았다. ‘또 설교한다!’ ‘이제 설교 그만해라!’ 등. 이런 말들은 더 이상 상대방의 말을 듣고 싶지 않을 때 하게 되는 가장 강한 거부의사의 표현이다. 이런 표현들은 교인들에게 아주 익숙한 것이다. 교인들이 매우 자주 말하고 듣는 표현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교회 밖에 있는 사람들에게는 아직 익숙하지 않은 표현일 것이다. 설교와 관련된 이런 교회 내적인 표현이 설교의 권위를 허무는 포도밭의 여우다.

물론 우리가 살아가는 21세기는 16세기 종교개혁의 시대와 달라도 너무 다른 환경이다. 그래서 이 시대의 기독교 신자들은 종교개혁자들이 ‘설교’를 ‘하나님의 말씀’으로 정의한 것에 대해 알면 아마도 상당히 당혹스러워할지 모른다. 아니, 경악할 것이다. 이렇게 반응하는 이유는 아마도 설교를 사람이 하는 것으로 여기는 그들의 보편적 인식 때문일 것이다. 그래서 대중들은 당연히 이렇게 생각할 것이다. ‘사람이 하는 설교를 어떻게 하나님의 말씀이라고 할 수 있는가? 너무 지나치게 권위적인, 신성모독에 가까운 발상이 아닌가?’ 라고.

‘설교는 사람이 한다!’는 생각은 틀린 것이 아니다. 사람이 설교하는 것 맞다. 하지만 이것은 ‘2% 부족한’ 생각이다. 경우에 따라 2% 부족한 것은 단순히 조금 부족한 정도가 아니라 본질 자체를 잃어버린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염기가 2% 부족한 바닷물은 사실상 바닷물이 아니다. 이것은 정확히 설교에도 해당하는 원리다. 사람이 설교하는 것은 설교가 아니다. 왜냐하면 성경 어디에도 설교를 사람이 하는 것으로 가르치지 않기 때문이다.

조금 부족하다는 것이 때로는 결핍의 내용이 무엇이냐에 따라 본질의 유무(有無)를 좌우하기도 한다. 설교는 분명 사람이 하는 것이 맞지만 이것이 설교의 전부가 아니다. 설교의 핵심은 실상 ‘하나님의 말씀’이다. 그래서 하나님의 진실한 말씀이 빠진 설교는 설교가 아니다. 설교에서 설교하는 자도, 설교를 듣는 자도 모두 집중해야 하는 것은 ‘하나님의 말씀’이다. 설교란 하나님의 말씀이 하나님의 음성으로 변화되는 통로다. 이 사실을 망각해버리면 설교는 하는 사람에게든 설교를 듣는 사람에게든 설교는 단지 사람의 사적인 언변에 불과하게 된다.

하나님의 모든 은혜는 신적 권위로부터 기원한다. 하나님 자신으로부터 나오지 않는 것은 어떤 것도 은혜가 될 수 없다. 즉 참된 은혜는 하나님 말씀의 권위로부터 나온다. 말씀의 권위 없이는 참된 은혜도 없는 것이다. 그런데 과연 우리가 흔히 말하는 “은혜 받았습니다!” 라는 인사말에서 그러한 신적 권위로부터 나온 은혜를 발견할 수 있는가? 설교의 은혜는 달콤한 말, 재미있는 말, 감동적인 말의 향연이 아니다. 설교는 ‘내 귀에 캔디’(ear candy)가 아니기 때문이다. 즉 설교는 내 귀에 즐거운 것, 내가 듣고 싶은 것만 골라 듣는 것이 아니라는 뜻이다.

설교의 주파수는 하나님의 말씀에 맞추어져야 한다. 그 주파수가 정확히 맞아 떨어질 때 분명한 하나님의 음성을 들을 수 있다. 주파수를 맞추는 일은 단지 설교를 듣는 청중에게만 요구되는 것이 아니라 설교를 하는 설교자에게도 요구되는 것이다. 설교자에게 가장 큰 유혹거리는 설교를 ‘청중의 비위를 맞추기 위한 인기성 발언’(lip service)으로 변질시키는 것이다. 설교자 자신이 설교의 주인이 될 때 이런 변질은 너무 쉽고 자연스럽게 나타난다.

설교에서 전하는 자나 듣는 자 모두에게 가장 중요한 요소는 자신이 원하는 무엇이 아닌 ‘하나님의 음성’, 즉 ‘하나님의 뜻’이다. 설교를 통해 설교하는 목사는 하나님의 뜻을 전달해야 하고, 듣는 청중은 하나님의 뜻을 발견해야 하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은혜다. 설교는 은혜의 수단이고 은혜의 내용은 하나님의 뜻이다. 나를 향한 하나님의 뜻이 없는 은혜로운 설교는 참된 은혜가 아닌, ‘내 귀에 캔디’일 뿐이다. 설교를 듣는 청중의 가장 큰 오해는 ‘내 귀에 캔디’가 곧 하나님의 은혜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설교에서 자신을 향한 하나님의 음성을 듣고 하나님의 뜻을 찾는 자세를 가진 청중만이 설교를 바르게 들을 수 있기 때문에 설교를 바르게 평가할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오해하지 말아야 한다. 설교가 평가 대상에서 제외될 수는 없지만 평가하기 위해 설교를 듣는 것은 아니다. 설교는 하나님의 말씀이라는 평가 기준이 있기 때문에 얼마든지 평가될 수 있고 반드시 평가되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설교를 듣는 청중은 아무리 마음에 들지 않는 목사의 시답잖은 설교라 할지라도 먼저 그 설교 속에서 자신을 향한 하나님의 음성, 즉 하나님의 뜻을 찾는 일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

이것은 설교하는 목사를 무조건 존중하라는 뜻이 아니다. 목사도 흠 많은 사람이고, 나아가 하나님 앞에서는 청중과 별다를 바 없는 죄인에 불과하지만, 하나님께서 그를 설교자로 세운 것은 이유가 없지 않을 것이다. 하나님께서는 설교자의 부족한 내용과 능력에도 불구하고 설교를 통해 청중에게 들려주시고자 하는 하나님 자신의 뜻이 있기 때문이다. 난청 지역은 주파수 맞추기가 쉽지 않다. 설교자는 자신의 설교가 난청 지역과 같이 되지 않도록 하나님을 향해 설교의 안테나를 높이 세워야 한다. 하나님의 음성이 잡음 없이 수신될 수 있도록 설교의 안테나를 말씀으로 조정하고 고정시켜야 한다. 그래야 청중이 하나님의 음성을 보다 분명하게 들을 수 있고, 다른 잡음 소리와 혼동하지 않게 된다.

하지만 자신을 향한 하나님의 음성을 듣도록 주파수를 맞추는 일은 청중 자신의 몫이다. 하나님의 음성을 듣고 하나님의 뜻을 발견함으로써 은혜를 받고 싶다면 청중은 성실하고 겸손하게 자신의 귀와 마음을 하나님 말씀의 주파수에 맞추어야 한다. 이것은 결코 설교자가 대신해 줄 수 있는 일이 아니다. 왜냐하면 설교자의 설교 능력이 아무리 뛰어나도, 설교 내용이 아무리 좋아도 설교 그 자체가 은혜를 만들어내지는 못하기 때문이다. 즉 훌륭한 설교 그 자체가 은혜의 보증수표는 아니라는 말이다.

은혜의 보증수표는 오직 성령 하나님 한분뿐이시다. 성령 하나님만이 은혜의 저장소이시며 은혜의 수여자이시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훌륭한 설교와 감동적인 설교만 있으면 은혜는 자동적으로 받게 되어 있다’는 생각은 망상에 불과하다. 참된 은혜는 훌륭한 설교자나 훌륭한 설교가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성령께서 친히 우리 각자의 폐부를 찔러 쪼개는 능력인 감동으로 제공하시는 것, 이것이 바로 은혜다.

하나님의 음성을 바르게 듣기 위한 설교평가는 청중의 일만은 아니다. 설교하는 목사도 자신의 설교를 정당하게 평가해야 한다. 설교자든 청중이든 설교평가의 시작은 먼저 자신을 하나님의 말씀 앞에 세우는 것이다. 그래야 하나님의 음성을 듣고 하나님의 뜻을 발견할 수 있다. 설교자든 청중이든 우리가 우리 자신을 향한 하나님의 음성을 듣고자 하는 겸손한 자세와 하나님의 뜻을 발견하고 하는 열정을 겸비하지 않고는 결코 설교를 정당하게 평가할 수 없다. 설교에서 진리의 소리를 듣고자 하는 열정과 겸손이 있을 때 평가는 아름다운 열매를 맺게 될 것이다.

설교 평가는 설교자가 진리의 소리를 각색하여 왜곡하거나 변질시킬 때 진가를 발휘할 수 있다. 즉 기독교 교리에 벗어나는 내용으로 설교하는 것을 방지하는 훌륭한 방법이다. 16세기 개혁파 종교개혁자들은 종교개혁을 수용한 도시에 설교 평가를 할 수 있는 장을 마련했다. 이런 설교 준비와 평가를 위한 모임의 이름은 도시마다 조금씩 달랐지만, 이런 모임은 통해 설교를 기독교 교리에 어긋나지 않게 잘 준비하고 설교할 수 있도록 도왔다. 일종의 한 지역 내의 교역자모임이었는데, 오늘날 시찰교역자회 같은 것이다. 16세기 제네바에도 “꽁그레가씨용”(congregation)이란 이름으로 매주 금요일 오전에 모임이 이루어졌다.

설교에서 자신이 듣기 싫은 소리를 했다거나 듣고 싶은 소리를 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설교를 평가하려고 한다면 그것은 설교 위에 자신을 세우는 버릇없고 꼴사나운 짓이다. 설교 형식이나 스타일, 구성 요소, 예화 등이 설교 평가의 주요 대상이 된다면 사공이 많아서 배가 산으로 가듯이 설교는 더 이상 설교의 자리를 지키지 못하게 될 것이다. 설교 평가의 주요 대상은 설교 본문의 핵심 내용이어야 한다. 설교자도 청중도 설교 본문, 즉 하나님의 말씀인 ‘성경 내용을 얼마나 바르게 해석하고 효과적으로 전달했으며 적절하게 적용했는가’이다. 이것이 설교 평가의 주요 대상이고 핵심이다.

설교자는 ‘설교 본문의 바른 해석과 효과적인 전달과 적절한 적용’에 대한 평가를 두려워하거나 금기시하지 않아야 한다. 오히려 자신의 설교를 냉철하게 평가해주기를 바래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은혜 받았습니다!’라는 말에 우쭐하게 되고, 그런 말을 몇 번 듣게 되면 정말 자신의 설교가 대단한 줄 착각하기 십상이다. 세상에 완전한 교회가 없듯이 완전한 설교도 존재하지 않는다. 성실하게 준비한 설교는 자신 있게 전하는 것이 당연지사지만, 설교를 하고 난 후에는 언제나 자신의 설교가 부족한 것이요, 부끄러운 것이라고 여기는 것이 지혜요, 자신을 쳐서 하나님께 복종시키는 바른 자세다. 그런데 많은 목사들이 거꾸로 한다. 즉 설교는 성실하게 준비하지 않으면서 설교한 후에는 스스로 자신의 설교가 대단한 것인 양 으스대는 것이다. 이런 목사들은 자신의 설교에 대한 자신감이 하늘을 찌른다. 그래서 설교 시간에 ‘아멘’을 강요하기도 한다.

설교 평가를 금기시하고 정당한 설교 평가의 장이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발생하는 심각한 문제가 훨씬 더 많은지도 모른다. 교회가 크면 클수록 교인들은 자신들의 교회 담임목사의 설교를 마치 하나님의 말씀과 동격인 것처럼 신성시하는 경향을 보이게 되고, 나아가 그를 신적인 존재로 받들기 십상이다. 이런 교인들을 목회하는 대형교회 담임목사들의 말투와 행세를 보면 한결같이 자신이 정말 하나님과 거의 동격인 것처럼 착각하는 모양새다. 반면에 이름 없는 소형교회 담임목사들은 저 유명한 ‘목사 아래에 있는 목사’로 취급되고, 그의 설교는 상대적으로 평가절하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런 불균형하고 비정상적인 현실 때문에 이단이 활개쳐도 막을 방법이 없다. 또한 큰 교회 담임목사가 대형 사고를 쳐도, 큰 교회가 심각한 문제를 일으켜도 막을 방법이 묘연한 것이다.

흔히 교회 안에서 일어나는 나쁜 현상 가운데 하나는 목사가 싫어지면 그의 설교도 자연히 듣기 싫어진다는 것이다. 이런 현상은 정상적인 것도, 바람직한 것도 아니다. 물론 우리가 연약한 인간인지라 목사와 그 목사의 설교를 완전히 분리하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다. 하지만 가능한 구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설교란 기본적으로 우리를 위한 하나님의 음성이 들어 있기 때문이다.

또한 교인이 사적인 자리에서 아무런 기준도 없이 자신의 기분에 따라 설교를 평가하는 행위는 목사가 제대로 된 설교 준비 없이 설교단에 서서 자신의 기분에 따라 설교하면서 이것을 성령의 인도하심이라고 주장하는 것과 다를 바가 별로 없어 보인다. 목사의 설교도 지극히 사적인 경우가 허다하다. 어쩌면 지금 한국교회에는 설교자 개인이 자신의 뜻에 따라 마음대로 하는 ‘사적인 설교’와, 청중 개인이 자신의 뜻에 따라 듣고 싶은 대로 듣는 ‘사적인 평가’로 몸살을 앓고 있는지도 모른다. 이처럼 설교 평가가 사적으로 이루어지게 된 데는 아마 홍수처럼 쏟아지는 방송 설교도 한 몫 하는 것 같다.

가능한 설교 평가는 공적인 자리에서 떳떳하게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물론 이렇게 할 수 있는 자리가 마련되어 있지 않고, 이런 생각이 공감대를 얻는 것 역시 요원해 보이는 현실이긴 하지만, 그렇다고 설교 평가를 아무 때나 아무 장소에서나 주관적으로 하도록 방치하는 것도 건강한 교회의 모습은 아닐 것 같다. 당장 설교 평가를 위한 공적 모임이 만들어진다고 해서 문제가 다 해결되지는 않을 것이다. 오히려 훨씬 심각한 문제들이 발생할지도 모른다. 그 이유는 아직 우리는 개인적인 감정에 휘둘리지 않고 무엇인가를 객관적으로 토론하거나 평가하는 일에 익숙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회가 합의하여 공적인 설교 평가의 자리를 마련하는 것은 필요하다. 16세기 제네바의 금요성경공부모임은 그와 같은 공적인 설교 평가의 자리였던 것으로 보인다. 그곳에서는 성경에 근거한 기독교 교리를 가르쳤고, 잘못된 교리는 시정하도록 지적받았고, 의문이 있으면 질문할 수 있었다. 그 자리에는 교역자나 교역자가 되기 위한 사람뿐만 아니라 관심 있는 사람은 누구나 참석할 수 있는 공개된 모임이었다. 제네바 목사들은 이런 자리를 통해 자신의 설교가 어떠한지 돌아볼 수 있었고, 동역자로서 서로를 격려하고 책망함으로써 제네바 교회를 함께 세워갔던 것이다. 오늘 우리의 교회에도 이와 같은 아름다운 모습이 속히 회복될 수 있기를 바란다.
번호
147 황대우 교수 칼럼 장로가 배워야 교회가 산다!/ 황대우 599   2024-04-03 2024-04-03 12:29
장로가 배워야 교회가 산다! 요즘 한국교회는 다양한 문제로 시름하고 있다. 목회자들이 가장 심각하게 생각하는 문제는 국가적인 인구감소에 따른 교인감소일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젊은 세대 교인뿐만 아니라, 어린아이와 청소년...  
146 황대우 교수 칼럼 목사와 장로의 바람직한 관계/ 황대우 520   2024-04-03 2024-04-03 19:56
목사와 장로의 바람직한 관계 목사와 장로의 바람직한 관계를 논해야 한다는 것이 목사로서 왠지 서글프다. 목사는 ‘가르치는 장로’다. 그렇다면 목사도 장로라는 말이다. 그런데 목사와 장로 사이의 관계가 그렇게 썩 좋아 보...  
145 황대우 교수 칼럼 그리스도인의 취미생활 어디까지 가능한가?/ 황대우 3036   2023-10-16 2023-10-16 09:47
그리스도인의 취미생활 어디까지 가능한가? 문화와 놀이 취미(趣味)는 ‘달릴 취’에 ‘맛 미’가 결합한 단어로 네이버 한자사전은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의미를 제시합니다. “1. 마음에 끌려 일정한 방향으로 쏠리는 흥미 2. 아...  
144 황대우 교수 칼럼 한국에서 양산된 기독교 이단/ 황대우 3874   2023-09-19 2023-09-19 14:42
한국에서 양산된 기독교 이단 (본 기고[기독교보 KOL]는 수년 전 기독교보에 실었던 글을 수정 증보한 내용입니다.) 무엇이 이단인가? 이 질문에 가장 포괄적인 대답은 아마도 다음과 같은 라틴어 격언이 아닐까 싶다. “최상인...  
143 황대우 교수 칼럼 교회의 개방성: 누가 교회의 이웃인가?/ 황대우 3936   2023-09-19 2023-09-19 14:39
교회의 개방성: 누가 세상의 이웃인가? ‘교회의 이웃은 누구인가?’ 이 질문을 우리는 종종 던지기도 하고 받기도 한다. 마치 이 질문은 어떤 율법 교사가 예수님께 찾아와 질문한 “내 이웃이 누구입니까?”와 같다. 율법 교...  
142 황대우 교수 칼럼 기독교 결혼예식/ 황대우 3909   2023-09-19 2023-09-19 14:35
기독교 결혼예식 1. 기독교 결혼의 의미 결혼식은 인생의 중대사 가운데 하나다. 그래서 흔히 인륜지대사(人倫之大事)라 한다. 물론 요즘은 이혼율이 높아 결혼도 옛날만큼 사회적으로 대단한 일은 아닌 듯하다. 또한 점차 가족보...  
141 황대우 교수 칼럼 동성애는 금지된 사랑인가?/ 황대우 19865   2021-03-11 2021-03-11 12:11
동성애는 금지된 사랑인가? 사랑은 정의하기 어렵고 그 종류도 다양하다. 가족 간의 사랑, 동료 간의 사랑, 이성 간의 사랑, 애국심, 애사심 등등. 사랑의 대상에 따른 구분도 가능하지만, 사랑의 내용에 따라서도 구분할 수 ...  
140 황대우 교수 칼럼 코로나와 교회모임/ 황대우 23772   2020-11-04 2021-03-11 12:13
코로나(COVID19)와 교회모임 코로나사태 이후 교회는 많은 변화를 겪고 있다. 그 가운데 가장 심각한 것은 교회모임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점이다. 주일 오전예배뿐만 아니라, 오후 혹은 저녁 예배, 교육기관예배, ...  
139 황대우 교수 칼럼 청년은 왜 교회를 떠나는가?/ 황대우 32987   2020-08-26 2020-08-26 14:36
청년은 왜 교회를 떠나는가?: 청년의 교회 출석, 오늘과 내일 대한예수교장로회 통합측은 2016년에 청년의 교회 출석 현황을 조사한 청년보고서를 내놓았다. 이 청년보고서는 만18-34세를 청년세대로 간주한 조사결과다. 아 보고서...  
138 황대우 교수 칼럼 정부의 교회 소모임 금지명령은 정당한가?/ 황대우 41465   2020-07-09 2020-07-09 20:26
정부의 교회 소모임 금지명령은 정당한가? 지난 7월 8일 정부는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즉 중대본을 통해 예배 이외의 소모임을 금지하는 명령을 발동했다. 지금까지 정부의 기조는 코로나19 방역규정을 준수할 것을 교회에 권고...  
137 황대우 교수 칼럼 성숙한 시민의식과 성숙한 교인의식/ 황대우 50986   2020-04-29 2020-04-29 09:13
성숙한 시민의식과 성숙한 교인의식 *이 글은 2017년 1월 22일자 "개혁정론"에 올린 것입니다.^^ 2016년 대한민국 최대의 화재거리는 단연 ‘촛불’과 ‘탄핵’이다. 최순실의 국정농단이 밝혀지면서 민심은 ‘광화문 촛불’로 봉기했...  
136 황대우 교수 칼럼 코로나19 확진자는 범죄자인가?/ 황대우 59592   2020-02-26 2020-02-26 16:50
코로나19 확진자는 범죄자인가? 코로나19 사태로 온 나라와 한국 교회 전체가 혼돈에 빠진 듯하다. 가장 심각한 문제는 코로나 바이러스에 감염된 사람을 무의식중에 마치 범죄자 취급하는 분위기다. 그들은 결코 범죄자가 아니다...  
135 황대우 교수 칼럼 코로나19와 주일예배/ 황대우 60151   2020-02-24 2020-02-26 10:55
코로나19와 주일예배 지금 대한민국 전체가 코로나 바이러스 전염 사태로 대혼란을 겪고 있다. 국민들이 코로나 19 사태가 진정 국면인 것처럼 느끼는 상황에서 갑자기 이번 주 대구의 신천지교회 사건이 터지면서 새로운 국면을...  
134 황대우 교수 칼럼 이런 전도는 전도가 아니다/ 황대우 63983   2020-02-12 2020-02-12 15:43
이런 전도는 전도가 아니다! 기독교는 예수님의 지상명령 때문에 전도를 교회와 신자의 사명으로 여긴다. 전도가 그리스도의 지상교회가 수행해야 할 최고의 임무와 사명이라는 사실을 모르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그래서 혹자는 ...  
133 황대우 교수 칼럼 기독교이단이란 무엇인가?/ 황대우 73372   2019-12-05 2019-12-05 15:28
작성자: 황대우 1. 이단으로 분류하는 기준은 무엇인가? ‘이단’(이단(異端)이란 ‘다를 이’에 ‘끝 단’자로 구성된 단어이며 ‘끝이 다른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이단을 의미하는 영어 명사 ‘헤러시’(heresy)의 어근에 해당하...  
132 황대우 교수 칼럼 그리스도인 가정이란 무엇인가?/ 황대우 70035   2019-12-05 2019-12-05 15:17
그리스도인 가정이란 무엇인가? 황대우 교수 (고신대 개혁주의학술원) 가정은 흔히 하나님의 선물이라고 한다. 가정은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다. 결혼한 남녀가 자녀를 낳아 기르는 공간을 가정이라 하고 그 관계를 가족이라 부른...  
131 황대우 교수 칼럼 이런 사람을 직분자로 세우면 안 된다!/ 황대우 70037   2019-12-05 2019-12-05 15:15
이런 사람을 직분자로 세우면 안 된다! 황대우 교수 (고신대 개혁주의학술원) 지금 한국교회는 어떤 사람을 직분자로 뽑는가? 대체로 무언가를 다른 사람보다 많이 가진 사람을 직분자로 선택하는 경향이 있다. 예컨대 돈이 더 ...  
130 황대우 교수 칼럼 교회의 통일성을 유지하는 수단, 교회교육/ 황대우 68176   2019-12-05 2019-12-05 15:14
교회의 통일성을 유지하는 수단, 교회교육 황대우 교수 (고신대 개혁주의학술원) 흔히 교육을 백년지대계라 한다. 이것은 인간의 삶에 교육이 차지하는 비중이 그만큼 엄청나다는 뜻이다. 교회도 마찬가지다. 교회도 교육 없이 생존...  
129 황대우 교수 칼럼 이것은 진정한 예배가 아니다!/ 황대우 67597   2019-12-05 2019-12-05 15:12
이것은 진정한 예배가 아니다! 황대우 교수 (고신대학교 개혁주의학술원) 기독교 예배란 그리스도 덕분에 그리스도인이 된 자들이 함께 모여 하나님을 예배하는 공적 행위를 의미한다. 예배의 대상은 오직 삼위 하나님뿐이시다. 따...  
128 황대우 교수 칼럼 종교개혁자들에게 심방이란 무엇이었는가?/ 황대우 75377   2019-06-13 2019-06-13 11:18
아래 글은 2018년 8월 목회와 신학에 기고된 글입니다. - 편집자 주 종교개혁자들에게 심방이란 무엇이었는가? 황대우 교수 (고신대 개혁주의학술원) 심방의 개념 목회는 ‘영혼의 돌봄’, 즉 라틴어로는 ‘쿠라 아니마룸’(cura ...  
Top